과민성대장증후군

본문 바로가기

서브비쥬얼

위·장질환

위·장을 튼튼하고 따뜻하게!

과민성대장증후군

  • HOME
  • >
  • 위·장질환
  • >
  • 과민성대장증후군

과민성대장증후군

과민성대장증후군 이미지

과민성대장증후군이란?

과민성 대장증후군은 식사나 가벼운 스트레스 후 복통과 복부 팽만감이 있거나 설사나 변비 등 대변 상태에 변화가 생기고 배설 시간이 불규칙하게 되는 만성적인 질환이다.

증상

만성 변비나 만성 설사 혹은 두 가지가 몇 개월에서 몇 년간 부정기적으로 나타난다.
설사는 아침에 일어나거나 아침 식사 후에 악화되며 일부 사람은 설사보다는 연필 모양의 풀 같은 변을 본다고 호소하기도 한다.

  • 만성 변비
  • 만성 설사
  • 배변 간격의 변화
  • 복부 팽만감
  • 긴급·불충분한 대변
  • 잦은 방귀

원인

과민성 대장증후군의 원인에 대해서는 아직까지 확실하게 밝혀진 것이 없다. 이학적 이상 없이 나타나는 만성적이고 간헐적 양상의 증상, 환경적 또는 감정적 스트레스와 증상과의 관계, 다른 질환을 배제한 경우 과민성 대장증후군으로 진단한다.

  • 중기하함 (中氣下陷)
    과로나 과식, 음식을 급하게 먹는등의 장기간의 안좋은 식습관 등으로 중초 즉 비, 위의 기운이 빠져서 쳐지는 경우
  • 대장기체 (大腸氣滯)
    스트레스, 갑작스런 충격 등으로 인해서 대장에 기체가 생긴 경우
  • 대장습열 (大腸濕熱)
    음주, 기름진 식습관 등으로 대장에 노폐물이 많이 생기면서 염증화한 경우
  • 대장한습 (大腸寒濕)
    평소 몸이 차고, 운동도 부족한 상황에서 찬음식이나 기름진 음식등으로 대장에 노폐물이 생긴 경우
  • 비위허약 (脾胃虛弱)
    평소 비위가 허약하고, 음식의 소화 흡수를 잘 못시키는 경우
  • 장운동 이상 이미지
    장운동 이상

    일반적으로 장내의 내용물이 상행결장과 횡행결장을 통과할 때 속도가 빨라지면 설사를 하게 되며, 두 결장을 느리게 통과하게 되면 변비가 된다.

  • 내장지각의 증가 이미지
    내장지각의 증가

    과민성 대장증후군 환자는 회장, 결장, 직장에서의 팽창 시 과도한 민감도를 보이는데 이를 통해 과민성 대장증후군 환자는 정상인보다 내장지각이 증가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 심리적 장애 이미지
    심리적 장애

    과민성 대장증후군 환자 가운데 일부는 심리적 불안이나 갈등 등의 심리적 장애를 나타낸다. 우울증, 히스테리, 강박을 가진 환자들이 많은 편이며 정신적 스트레스가 증상을 더욱 악화시킨다.

치료

과민성 대장증후군의 한방 치료 클리닉은 첨단 영상 검진 및 한의사의 문진 등을 통해 복합적인 이상 증세를 정확히 감별해내고 그에 맞는 최적의 한방 치료를 한다.

추나요법 이미지
추나요법

경직되거나 뒤틀린 뼈와 근육을 바르게 교정하는 치료법. 경락과 경혈을 자극하여 과민성 대장증후군의 증상을 호전시킨다.

인체의 기혈 순환을 조절하여 심리적 안정을 취하게 하여 기기울체나 오장 육부의 기혈순환의 부조화를 완화시켜 준다.

침술 이미지
약침 이미지
약침

순수 한약 성분을 정제한 약침을 경혈에 주입하여 한약과 침의 효과를 동시에 볼 수 있는 치료이다.

한약

한의사의 문진 등을 통해 환자의 이상 증세 및 원인을 정확히 감별하여 환자 개개인에 맞게 처방한다.

한약 이미지
뜸 이미지

뜸 치료는 침 치료와 병행하여 인체 내의 온열 효과를 준다.